한국어는 받침을 통해 음절이 끝나고, 다음 음절로 이어질 때 연음 현상이 일어납니다.
한국어는 받침을 통해 음절이 끝나고, 다음 음절로 이어질 때 연음 현상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한국말’을 표기할 때 ‘한-국-말’처럼 각각의 음절로 나누어 표기하지만, 발음할 때는 받침이 다음 음절로 연음되어 ‘한궁말’처럼 발음됩니다. 이러한 발음상의 차이는 맞춤법 규칙을 통해 표기할 때 고려되며, 정확한 표기를 제공하는 기준이 됩니다.
사이시옷은 두 개의 명사가 결합할 때 발음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곳간’, ‘셋방’, ‘숫자’ 등이 그 예입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사이시옷을 붙이지는 않으며, 어떤 단어의 조합에서는 사이시옷이 붙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부엌일’처럼 특정 조건에서만 사이시옷이 사용됩니다. 사이시옷 표기법은 원칙적으로 소리 나는 대로 쓰기 때문에 발음상의 유추를 통해 정해지게 됩니다.